1970년 어느 날. 바스코 라스투루치 Vasco Lastrucci는 엉뚱한 생각을 떠올린다. 인근 마을을 지나치다가 듬성듬성 돌이 박혀있는 붉은 들판이 눈에 띈 것이다. 함부로 잘려나간 나무 밑동들과 수풀이 제 멋대로 엉켜있어서 사람들이 수풀(lecci)과 나무 밑동(brocchi)의 들판이란 뜻의 '레치 에 브로키'라 부르는 곳이다. 바스코는 황량하기 짝이 없는 이곳을 산조베제가 열리는 비옥한 땅으로 바꾸어 놓겠다는 꿈을 품었고 곧 땅을 사들인다. 이후 밭에서 나온 첫 소출로 만든 와인이 농부인 그를 평생 와인 생산자로 탈바꿈시키는 계기가 될 줄이야. 그의 와인은 어떤 산조베제도 흉내 내지 못 할 독창적인 풍미를 내고 있었다. 심연같이 검붉은 와인 중심은 과일향의 휘오리가 몰아치며 흙과 광물향이 솟아올랐다.
바스코가 자신의 인생을 맡긴 토양을 사람들은 테라 로싸(terra rossa)라 불렀다. 지도상에서 토스카나주 중부에 자리 잡은 카스텔누오보 베라르덴가 마을에서 발견된다. 풀리아를 비롯한 남이탈리아에 흔한 토양이나 끼안티 클라시코 지역에서 발견된 경우는 처음이다. 그의 땅은 원래 점토와 석회석이 섞인 갈레스트로 토였으나 인근 산에 있던 철광 광산이 무너지는 바람에 토사에 휩쓸려 온 광물이 뒤덮었다. 토양의 속과 겉이 뒤집히면서 공기와 접촉하자 산화를 일으켜 흙 빛깔이 적색으로 변했던 것이다. 끼안티 클라시코 내부는 7천여 헥타르의 포도밭으로 채워져 있으며 그 안은 340여 군데 와이너리가 고유한 자연을 담아내는 거대한 와인 산지다. 테라 로싸의 주인은 오직 두 군데 와이너리며 이 중 하나가 레치 에 브로끼다.
바스코의 와인이 제 빛을 발하기까지 30년이 걸렸다. 그의 고객들은 이웃들이나 독특한 맛에 열광하는 마니아들이었다. 2009년 그는 갑자기 세상을 타계했고 딸인 사브리나와 그녀의 남편 잔카를로가 유산을 승계받는다. 이들은 다른 직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나 고인이 일궈온 포부를 이어받기로 한다. 이때까지 은둔하던 고인의 와인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 치열한 계획이 세워졌다. 우선 와인을 병입 하지 않고 소량씩 판매하던 방식에서 750ml 병에 담았다. 또한 라벨 디자인과 로고를 전문가에게 의뢰했다. 와이너리 이름은 고인과 30년 동고동락한 지명을 본 따 '레치 에 브로끼'로 정했다.
<레치 에 브로끼 로고>
라벨 디자인은 전면에 말과 나무 잎을 내세웠고 배경은 포도밭을 깔았다. 브로끼는 나무 밑동이란 뜻 외에도 방언에 따르면 시에나 팔리오 말 경주에 참가 자격이 박탈된 말을 뜻한다. 나무 잎은 레치(수풀)를 상징한다. 라스투루치 가족은 팔리오경주의 열혈 팬으로 해를 거르지 않고 경기를 참관한다.
메를로와 카베르네 품종을 뽑아내고 토스카나 품종인 산조베제, 콜로리노, 말바시아 네라, 카나이올로 네라로 대치하는 수종의 토착화를 이뤘다. 한편으로는 환대 와인으로 명성이 높은 빈산토 전통을 잇기로 하는 데 세 달 건조한 산조베제로 만든 오키오 디 페르니체(Occhio di Pernice) 빈산토다. 나이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드리 이스트가 담긴 카라텔리 통 안에 포도즙을 부어 3년 묵힌 후 세상 빛을 본다. 매년 5백 ml 병으로 3백 개만 출시하는 희귀 아이템이다.
사브리나와 잔카를로 부부는 와인은 양조장이 아니라 포도밭에서 온다는 철학을 굳게 믿고 있다. 와인의 미래는 흙 본래의 건강한 상태 복구에 달려 있으므로 밭에서 포장까지 전 과정에 유기농법을 도입했다. 2019년도에 유기농 마크를 단 끼안티 클라시코가 첫 선을 보였다. 기후변화 징후가 짙어지면서 남 토스카나에 우박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우박의 빈도에 따라 소출량의 변동이 심하므로 전정할 때 건강한 씨눈만 가지에 남기는 식으로 수확량 유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공력을 들인 첫 와인들이 출시하자마자 좋은 반응이 쏟아졌다. 2012년 끼안티 클라시코는 AIS 이탈리아 소믈리에 협회 밀라노 지부가 주최한 카스텔누오보 베라르덴가 지역 최우수 끼안티 클라시코 중 하나에 선정되었다. 또한 2012년도 끼안티 클라시코 리제르바 일 끼오르바는 와인 엔수시애스트로부터 91점을 얻었다.
최근 들어 오너 부부의 장남, 조반니가 양조 대학을 마치고 합류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조반니가 막 뛰어들었을 무렵 한 가지 의문이 그를 따라다녔다. " 우리는 왜 화이트 와인이 없을까? 산조베제라고 꼭 레드 와인을 만들라는 법은 없지 않은가". 하여 탄생한 와인이 산조 Sangio' 화이트다. 해발 420미터에서 천천히 익은 산조베제 일부를 덜어내어 압착한 즙을 저온 발효해 완성했다. 산(San)은 산조베제와 조반니의 조(gio')를 합친 단어다. 올해 빈이탈리 와인 박람회에서 공식적으로 출시했으며 첫 빈티지(2020)는 이탈리아 와인 메거진 Rosso Rubino.tv로부터 92점을 받았다. 라벨은 말이 고목을 뚫고 힘차게 나오는 이미지인데 말은 조반니를 상징한다. 가족의 말 사랑은 본 라벨로 다시 한번 입증됐다.
레치 에 브로키는 4헥타르의 포도밭과 6헥타르의 올리브 농장을 경작하는 아티산 와이너리다. 포도밭은 와이너리 주변에 원형극장 형태로 펼쳐져 있어 건물 안에서 나무 상태를 일일이 살필 수 있을 정도로 전망이 뛰어나다. 420미터의 해발은 인근 봉우리의 키를 훌쩍 넘어 연중 바람이 불어온다. 덕분에 곰팡이 전염 확률이 낮고 큰 일교차는 완숙 기간을 늘려 놔 수확철은 9월 말이나 10월 초에 맞이한다.
레치 에 브로키의 아이콘 와인들
끼안티 클라시코 안나타 타입 2019 -산조베제 90%, 카나이올로 10%를 따로 발효한 후 블랜딩 한 와인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했다. 2019 빈티지는 독일 와인평가 기관인 Falstaff가 89점을 수여했다. 체리, 딸기, 오렌지 같은 달콤한 내음과 철과 토양의 묵직한 향기가 잇따른다. 미네랄의 짠맛이 미각을 정리해 주며 바다향이 살짝 내비친다. 타닌이 유려하며 단단한 골격이 구조를 받들고 있다.
끼안티 클라시코 Ragonaia 2019 빈티지-라고니아 밭에서 자란 23년 수령의 산조베제 크뤼다. 10월 초에 수확한 포도를 개방된 오크 안에서 알코올 발효를 일으켰다. 발효 중 와인과 부유물의 분리를 막기 위해 막대기로 휘저으면서 껍질 내 아로마 성분을 침출 했다. 젖산 발효를 마친 와인을 바리크 오크에서 12개월 숙성했다. 체리, 라즈베리, 초콜릿의 달콤함과 말린 꽃의 은은함이 조화를 발한다. 광물과 이끼 향이 천천히 피어나면서 코 주위에 감미로움이 돈다. 마치 비 온 후 젖은 가을 숲이 발산하는 들 꽃, 축축한 땅 내음, 수풀이 뒤섞인 내음이 난다. 유려한 타닌과 신선한 산도, 미네랄이 밸런스를 이룬다.
끼안티 클라시코 리제르바 일 끼오르바 2017- 레치 에 브로끼의 핵심 와인이다. 일 끼오르바는 바스코 생전의 별명이자 그를 추모하는 와인이다. 뜻이 거두인데 그의 머리가 유난히 커서 붙여진 별명이다. 작황이 좋은 해에 완숙도가 빼어난 산조베제를 선별해서 만든다. 2010년에 첫 출시한 이래 우박피해를 입은 2015년만 빼고 매년 출시했다. 산조베제 90%, 콜로리노와 카나이올로 10%를 단독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알코올 발효와 젖산 발효를 거쳤다. 블랜딩 한 와인을 슬라보니아산 보테에서 24개월 숙성했다. 시멘트 탱크로 옮겨 잠시 안정을 취한 후 병입했다. 2017년 리제르바는 체리, 자두, 비올라, 초콜릿, 커피 향이 풍성하다. 타닌이 유연함을 발산하며 산뜻한 산미가 돋보인다. 풀보디의 촘촘한 구조를 느낄 수 있다. 2012~2013년 연속 와인 엔수시애스트로부터 각각 91점과 88점을 얻었다. 2013년은 Falstaff로부터 90점을, 2017년은 Decanter로부터 93점을 얻었다.
끼안티 클라시코 그란 셀레지오네 Delerarium 2013-매년 763병 정도만 나오는 한정 아이템이다. 40일 알코올 발효 및 침용을 마친 와인을 콘크리트 탱크에 옮겨 젖산 발효를 거쳤다. 두 번 사용한 배럴에서 30개월 숙성했다. 2013년 와인은 타바코, 오리엔탈 스파이시, 후추, 체리, 낙엽, 해조류, 정향, 감초, 해조류 향이 은은히 피어오른다. 특히, 철, 토양, 버섯 등 습한 향기가 중후함을 풍긴다. 경쾌한 산도와 파워 있는 질감, 실크 타닌 등 숙성력이 돋보인다. 2013 빈티지는 제임스 서클링이 91점을 수여했다.
비앙코 IGT Sangio' 2020- 끼안티 클라시코와 같은 밭에서 나온 산조베제를 사용했다. 새벽에 수확한 산조베제를 압착한 즙을 70%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30%는 미디엄 토스팅 한 바리크에서 발효했다. 발효가 끝난 후 따라내기를 안 한 상태에서 효모 앙금을 저어가면서 6개월 숙성했다. 저명한 이탈리아 와인 비평가는 산조를 두고 위대한 레드가 나오는 대지가 낳은 산조베제 화이트라 칭송했다(Un grande bianco nella terra dei grandi rossi). 비올라, 라벤더, 레몬, 로즈베리 같은 순도 높은 화이트 와인 여운이 놀랍다. 섬세한 실루엣인 와닿으며 혀는 미디엄 정도의 무게감을 느낀다. 토양의 실체인 미네랄이 도드라지며 산미는 화사한 꽃 여운을 품고 있다.
와인과 오너 가족의 환대가 만나는 곳-아그리투리스모
라스투르치 가족은 와이너리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아담한 아그리투리스모를 운영하고 있다. 16세기의 귀족 저택을 토스카나 농가풍으로 개조해 소박함과 청결함이 배어있다. 새벽 산책은 절대고요와 마주하는 시간이다. 새벽의 경내는 침묵이 휘감고 있으며 저 멀리 세네시 크레테 능선이 빗으로 쓸어내린 듯한 포도밭과 사이프러스 열을 보여준다. 정원 중앙에는 풀장을 배치해 선베드에 드러누워 있으면 바람결 따라 올리브 가지가 서로 비벼대는 소리가 들린다.
한 켠에는 담백한 토스카나 요리가 주 특기인 레스토랑을 들여놨다. 지역산 무공해 농산물만 구현해야 낼 수 있는 음식 맛과 레치 에 브로끼 끼안티 클라시고 와인과 매칭하기 적소다. 조식은 사브리나가 직접 준비하는데 단맛과 짠맛이 구색을 갖춘 풍성한 뷔페가 차려진다. 이곳에서 팔리오 경마와 14세기 프레스코화, 좋은 정부와 나쁜 정부가 랜드마크인 시에나가 차로 40분 거리에 있다. 아그리투리스모는 토스카나 중부의 끝자락과 남동부 어귀가 교차하는 축에 놓여 있으며 남토스카나 여행을 계획하는 독자라면 베이스캠프로 삼으면 좋을 듯하다.
자세한 정보와 예약문의는 Podere Casato 홈페이지 참고
2021 안테프리마에 데뷔한 TOP 8 와인 동향 -성공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비결-전통,혁신,밀레니얼 (6) | 2024.11.21 |
---|---|
2021 안테프리마에 데뷔한 TOP 8 와인 동향 -사그란티노의 이유있는 날씬함 (1) | 2024.10.31 |
몬탈치노에만 있는 것 (3) | 2024.09.30 |
바다가 천리 길, 사르데냐 섬의 마모이아다가 튀는 이유(2) (9) | 2024.09.19 |
바다가 천리 길, 사르데냐 섬의 마모이아다가 튀는 이유(1) (1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