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와이너리 투어에 대한 모든 것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탈리아 와이너리 투어에 대한 모든 것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99)
    • about 바르바롤스쿠올라 (24)
    • 가볼만한 와이너리 추천 (12)
    • 가을시즌 와인 스터디 여행 (5)
    • 여름 시즌 와인스터디 여행 (5)
    • 봄 시즌 와인스터디 여행 (5)
    • 와인투어와 시티투어의 결합 (5)
    • 이탈리아 와이너리 투어 이야기 (14)
    • 블로그 운영자가 쓴 와인칼럼 (38)
    • 와인과 얽힌 짧은 이야기들 (52)
    • 와인시음회 (15)
    • 이탈리아 요리 (7)
    • 와이너리 방문기 (65)
    • 와인&음식 축제이야기 (20)
    • 피에몬테와인 (40)
    • 베네토와인 (8)
    • 토스카나와인 (12)
    • 리구리아 와인 (4)
    • 시칠리아 와인 (7)
    • 롬바르디아 와인 (7)
    • 라찌오 주 와인 (1)
    • 에밀리아 로마냐 (4)
    • 사르데냐 와인 (1)
    • 이탈리아 치즈 (6)
    • 와인별곡 (21)
    • 움브리아 와인 (5)
    • 발레다 오스타 와인 (5)

검색 레이어

이탈리아 와이너리 투어에 대한 모든 것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바르베라

  • 마로네 가족- 패밀리형 바롤로 와이너리 성공 모델

    2025.01.03 by 이탈리아 와인로드

  • 베르사노에게 진정한 피에몬테 와인이란

    2023.09.18 by 이탈리아 와인로드

  • 베르베라 다스티 와인의 달인 베르사노(Bersano) 와이너리

    2021.01.16 by 이탈리아 와인로드

  • 친구네 포도수확 도와주러 갔어요(동영상)

    2020.11.16 by 이탈리아 와인로드

  • 피에몬테인이 들려 주는 바르베라 품종 역사

    2018.03.12 by 이탈리아 와인로드

  • 바르베라와인과 이름

    2014.02.03 by 이탈리아 와인로드

마로네 가족- 패밀리형 바롤로 와이너리 성공 모델

몇 해전 필자는 프랑스 요리 아카데미 서울 분교의 초청으로 이탈리아 와인 강의를 한 적이 있다. 아카데미 측에서 준비한  이탈리아 와인들은 품종 개성과 지역특성이 잘 안배되어  고른이의 고심한 흔적이 보였다. 와인 중에는 생산자가 마로네 와이너리인  피케메이(Pichemei), 라판타레라( La Pantalera )가 있었다. 순간 피에몬테 주가 고향이거나 연고가 있는 이들한테만 통할법한 방언을 와인 애칭으로 고른 생산자의  두둑한 배짱이 떠올라  피식 웃음이  흘러나왔다. 한편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구심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백 라벨 설명을 읽은 후 이해가 된  ‘그중 최고’란 뜻의 피케메이는 그렇다 치더라도  전통 구기종목인 라판타레라를 외국인에게 어떻게 설명할까. 참고로 라판타레라의 원뜻은  긴 ..

블로그 운영자가 쓴 와인칼럼 2025. 1. 3. 02:07

베르사노에게 진정한 피에몬테 와인이란

만일 누군가 피에몬테 와인을 소개해 달라고 하면 나는 주저 없이 베르사노 와이너리를 추천하겠다. 와인을 추천해 달라고 했는데 이름을 댔으니 질문자는 내가 자신의 의도를 잘못짚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베르사노를 추천한 나의 의중은 이렇다. 베르사노는 자신의 역량을 토착품종에 기울여왔고 포도산지는 포도 형질이 100% 발현되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품고 있다. 먼저 베르사노한테 토착품종은 어떤 의미일까? 네비올로, 바르베라, 돌체토, 루케 같은 본산지가 피에몬테 주고 주 밖에서 자란다 해도 원산지의 맛을 따라올 수 없는 풍미의 불변성이다. 화이트 와인은 아르네이스와 코르테제로 빚어 누구라도 사랑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아로마와 산도를 지니고 있다. 거기다 제품 카탈로그는 스위트 와인 라인업도 탄탄하다. 중후함..

피에몬테와인 2023. 9. 18. 18:42

베르베라 다스티 와인의 달인 베르사노(Bersano) 와이너리

베르사노(Bersano)는 2007년에 창립 1백 주년을 맞은 중견 와이너리다. 바르베라 다스티, 브라케토 다퀴, 모스카토 다스티 와인의 본고장인 아스티 현(Asti Province), 니짜 몬페라토(Nizza Monferrato) 마을에 본사가 있다. 1930년 이전까지만 해도 패밀리 농장에 불과하던 곳을 중대형 규모 와이너리로 키운 건 아르투로 베르사노(Arturo Bersano)다. 그의 성공스토리 이면에는 "좋은 와인을 마시고 싶으면 포도밭을 사라 Se vuoi bere bene, comprati un vigneto"의 모토가 숨어있다. 언뜻 들으면 콘크리트 회색 벽에 찌들려 사는 도시인의 약을 올리는가 싶기도 하다. 그러나 와이너리가 걸어온 길을 살펴본다면 앞의 생각은 들리는 대로 해석한 오해에..

피에몬테와인 2021. 1. 16. 23:57

친구네 포도수확 도와주러 갔어요(동영상)

친구가 포도 수확한다기에 도와주러 갔어요. 지난 9월 26일이 수확일이었는데 바르베라 포도가 아주 잘 익었어요. 햇빛을 너무 많이 받은 알맹이는 쪼글거렸지만 대체로 통통하고 건강했어요. 친구네는 오래전부터 가족 포도밭을 가꾸어 왔는데 소량이지만 와인을 빚어서 식사 와인으로 마시고 있어요. 가끔 와인을 가족 라벨을 붙인 병에 넣어 코르크로 막은 다음 친구들에게 명절 선물로 나눠줘요. 친구의 부모는 정년퇴직을 했고 취미로 밭을 가꾸면서 건강을 지키고 노년의 로망을 즐기는 것 같아 보기가 좋았어요. 수확 때 장면과 수확한 바르베라가 알코올 발효, 압착, 따라내기를 거쳐 와인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즐기시기 바랍니다.

와인과 얽힌 짧은 이야기들 2020. 11. 16. 07:28

피에몬테인이 들려 주는 바르베라 품종 역사

바르베라 품종은 피에몬테 주가 주요 산지이며 이곳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롬바르디아주, 에밀리아 로마냐주 일부와 캄파냐 주에서 재배되고 있다. 산조베제에 이어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이탈리아 앙케이트 조사 기관이 주기적 음주자와 간헐적 음주자들을 ..

피에몬테와인 2018. 3. 12. 23:43

바르베라와인과 이름

옛날 이탈리아는 한국처럼 농경사회였다. 농사는 그것을 천직으로 하는 농부의 이름에도 영향을 미쳤다. 농부가 가꾸던 야채가 양파이면 치폴리니(cipollini=양파)씨, 쌀이면 리시(Risi=쌀의 복수형)씨, 밀이면 화리나(Farina=밀가루)씨로 불렀다. 피에몬테주에는 바르베리스(Barberis)와 바르베..

카테고리 없음 2014. 2. 3. 18:5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이탈리아 와이너리 투어에 대한 모든 것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